미디어 시i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미디어 시in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607) N
    • 신간+뉴스 (193) N
    • 현장+뉴스 (66)
    • 포엠포커스 (28)
    • 시조포커스 (87) N
    • 잡지목차소개 (110) N
    • 강좌 및 공모, 행사 (35)
    • 오피니언 (4)
    • 스페셜 집중조명 (16)
    • 젊은 시인의 시선 (2)
    • 포토포엠 (57)
    • 공지사항 (0)
    • 작은 서점 소식 (8)

검색 레이어

미디어 시in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오피니언

  • <미디어 시in> 스페셜 집중 조명 _ 이건청 시인편1

    2025.04.06 by 미디어시인

  • 〈젊은 시인의 시선〉 특집 _ 김지민 시인 강우근 시인 편 _ 작품론 _ 황치복 평론가

    2025.02.07 by 미디어시인

  • 〈젊은 시인의 시선〉 특집 _ 김지민 시인 강우근 시인 편

    2025.02.07 by 미디어시인

  • 특별 기고 _ 한계는 없고 편견만 있다, 농인 예술인이 펼친 특별한 시 세계

    2025.02.05 by 미디어시인

<미디어 시in> 스페셜 집중 조명 _ 이건청 시인편1

그리움이 짙어지고 상상력도 깊어지는…―이건청 시집 『열아홉 개 섬과 암초들을 부르는 시』(달나무, 2025)가 가진 문향과 깊이   인터뷰 진행: 김신영 시인 이건청 시인은 1942년 경기도 이천에서 태어난 후 1967년 한국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하면서 시인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그동안 시집 『이건청 시집』 『목마른 자는 잠들고』 『망초꽃 하나』 『하이에나』 『코뿔소를 찾아서』 『석탄 형성에 관한 관찰 기록』 『푸른 말들에 관한 기억』 『소금창고에서 날아가는 노고지리』 『반구대 암각화 앞에서』 『굴참나무 숲에서』 『곡마단 뒷마당엔 말이 한 마리 있었네』 『실라캔스를 찾아서』와 기획시집 『로댕-청동시대를 위하여』, 시선집 『해지는 날의 짐승에게』 『움직이는 산』 『무당벌레가 되고싶은 시인』 『해지는 날 푸..

오피니언 2025. 4. 6. 22:40

〈젊은 시인의 시선〉 특집 _ 김지민 시인 강우근 시인 편 _ 작품론 _ 황치복 평론가

작품론>   현실의 발견, 혹은 삶의 신비로움―김지민, 강우근의 새로운 시선  황치복  1. 삶의 비관적 전망과 아이러니(irony)  이번에 살펴보게 될 김지민, 강우근 시인의 시편들에서 인생과 현실에 대한 사유들을 발견할 수 있어서 반가운 마음이 들었다. 그동안 신인들은 인생이나 현실, 혹은 사회와 문명에 대한 사유보다는 놀이와 유희, 혹은 게임과 환상과 같은 비현실, 혹은 현실 너머의 현상에 주목하는 경향이 많았기 때문이다. 더욱 반가운 것은 신인들이 바라보는 인생과 현실의 모습들의 모두 개성적이고 독창적인 관점에 의해서 포착되고 있기 때문에 경이로움을 선사하고 있다는 점이다. 김지민 시인은 라비린토스의 미궁과도 같은 인생의 신비롭고 불가사의한 국면에 초점을 두면서도 비관적인 관점으로 접근해서 독..

오피니언 2025. 2. 7. 09:13

〈젊은 시인의 시선〉 특집 _ 김지민 시인 강우근 시인 편

서약 외 2편  김지민  “내 눈을 감겨주소서 그래도 나는 당신을 볼 수 있습니다”*  몇 사람이 일어서고 몇 사람이 돌아온다. 하객을 등지고 선 두 사람은 바다를 향해 놓여 있는 신발 한 켤레 같다. 도저히 다음 장면이 그려지지 않는다.   희고 납작한 돌 하나가 두 사람의 머리 위로 지나간다.   돌은 두 사람의 머리 위에 집을 짓듯이 두 사람을 공중에 걸어놓듯이 영원히 곤두박질치지 않을 듯이 느릿느릿 지나가고 하객들은 눈으로 돌을 쫓는다. 두 사람이 볼 수 없는 희고 납작한 돌을.   슬퍼 보여요 쉿   두 사람은 손을 맞잡는다. 손가락과 손가락이 얽히고 풀어지고 또 서로 바짝 끌어당기는 동안 하객들은 여전히 두 사람의 머리 위를 지나는 돌을 본다.   앞사람의 뒤통수에서 발견한 흰 머리카락처..

오피니언 2025. 2. 7. 09:08

특별 기고 _ 한계는 없고 편견만 있다, 농인 예술인이 펼친 특별한 시 세계

―‘2024년 예술단체의 예비예술인 최초발표지원’ 사업 결과물   이영숙(시인·문학평론가)   2024년 12월에 다소 특별한 시집 두 권이 동시 출간되었다. 옥지구의 『어느 누구에게도 다정함을 은폐하기로』와 한재희의 『네가 슬퍼서 참 다행이다』가 그것이다. ‘2024년 예술단체의 예비예술인 최초발표지원’이란 사업명으로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이하 아르코)가 공모하고, 장애예술단체인 풍경놀이터>와 출판사 핌>이 컨소시엄으로 선정되어 협업한 결과이다. 결과론이지만 기성 예술인을 주로 지원하는 아르코가 예비예술인, 그중에서도 농인 예비예술인에게 기회를 준 것은 매우 특별한 이벤트였다. 보건복지부의 2023년 12월 31일 기준 ‘전국 장애인 현황’을 보면 전국에는 약 43만 명의 농ㆍ청각장애인이 존재한다. 이들은..

오피니언 2025. 2. 5. 22:35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미디어 시in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